Notice & Events

STP박사과정 박대인,정한별, '과학기술의 일상사' 도서 발간(2018.10.18)
Writer 관리자 Created 2018.10.12 Views 1594

도서사진

 

 

 

지은이 :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박대인, 정한별) 

 

소개 :
박대인과 정한별은 카이스트 학부에서 각각 산업공학과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 처음 만났다. 두 사람의 온라인 인격체이자 비즈니스 유닛인 약칭 <과정남>은 아는 사람들은 아는 과학 팟캐스트다. 팟캐스트계에서 과학 분야가 척박한 탓이기도 하겠으나, 2014년 4월부터 거의 매주 한 번씩 4년 넘게 업로드를 이어온 덕분에 알아봐주는 분들이 생겨 사회자나 패널로 초청되는 일도 꽤 있다.

 

“이공계의 위기라는 말이 있습니다.”라는 첫 문장으로 문을 열었던 0화, 오프닝 멘트도 없이 “과정, 과정남?”이라며 방송 이름조차 스스로 낯설었던 1화. 1화는 ‘과학기술정책’을 읽어준다는 취지에 명실상부하는 방송이었을 뿐만 아니라, <과정남>의 고민이 뚝뚝 묻어나는 진솔한 면을 느낄 수 있으니 꼭 들어보시길 바란다. 쑥스러운 듯, 겸손한 듯, 머뭇거리는 듯, ‘말빨’이 넘쳐나는 다른 팟캐스트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참한 분위기를 물씬 자아내는 <과정남>이 무려 187개의 에피소드를 생산해냈다.

방송 내용도 다채롭다. 진행자 두 사람이 과학기술정책 관련 주제를 다루는 ‘정규 방송’, 다양한 현업 연구자(유명인이 아닌 신진 연구자)를 초대하여 이공계 연구와 연구자의 리얼한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는 ‘인터뷰’, 전문성이 필요한 소재를 다루기 위해 업계에서 어느 정도 알려진 연구자를 초대하는 ‘콜라보’. 취향에 따라, 궁금증에 따라, 필요에 따라 골라 듣는 재미를 맛보시라.

2016년 4월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같은 해 가을부터 휴학 중인 박대인은 웨어러블 솔루션을 개발하는 ‘비플렉스’의 일원으로 현재 열심히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정한별은 계속해서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대학원생으로 살아남기 위해 연구도 하고 학회도 다니며 노(오)력하고 있다.

 

<과정남> 시즌 2는 조만간 재개할 예정이다. “고품격 과학기술정책 방송”을 표방하고 지향하는 <과정남>이 궁금하신 분들은 애플 앱스토어의 ‘팟캐스트’, 혹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의 ‘팟빵’이나 ‘팟티’ 어플을 이용하면 된다.

 

<추천글>

 

전치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 <과정남>이 읽어주는 과학은 아름답고 화려하지 않다. <과정남>은 자연의 신비에 감탄하거나 혁신의 속도를 칭송하지 않는다.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점치거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지도 않는다. 대신 다양한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어떻게든 돈을 조달하고, 실험실을 꾸리고, 거기에 출근해서 일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또 국가가 어떤 논리를 개발하여 과학에 예산을 투입하고 과학을 사용하려 시도하는지 설명한다. 즉 <과정남>이 읽어주는 것은 직업으로서의 과학, 제도로서의 과학, 관계로서의 과학이다. 이 책이 들려주는 ‘과학기술의 일상사’란 매일매일 고생스럽게 연구개발이라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일상에서 과학을 접할 일이 없는 시민들도 한 번씩은 들어두면 좋을 무대 뒤의 과학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은 모든 독자가 과학을 더 쉽고 친근하게 느끼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과학은 언제나 어렵다. 하지만 <과정남>의 성실한 과학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과학을 보고 듣는 남다른 감각 하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홍성주 
: 한국에서 과학기술이란 무엇인가?『과학기술의 일상사』는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지배적 담론 속에 가려졌던 해묵은 질문들을 끄집어낸다. ‘과학기술=만능해결사’라는 지배적 담론은 압축성장, 지식경제, 창조경제, 혁신성장으로 이어지는 한국의 정책 계보사에서 지난 50여 년 동안 가장 강력한 과학기술정책의 수사였다. 이 강력한 담론을 삭제한『과학기술의 일상사』는 우리에게 다소 불편하고 머리 아픈 과학기술정책 질문들을 던진다. 질문들을 따라가다 보면, 기초과학부터 과학관, 재난 문제, 연구개발 전략에 이르기까지 한국 과학기술정책이 안고 있는 철학적 고민의 부실함, 개념 정의에서의 혼선, 뒤집힌 선후관계와 같은 민낯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이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한국의 과학기술은 빠른 성장 과정에서 많은 정책적 질문들을 생략해왔고 그로 인해 헤매고 있다. 청년의 시선으로 과학에서의 노동과 과학기술계의 불평등 문제를 다룬 점은 이 책에 참신성을 더한다. 저자들이 인용한 과학사와 과학사회학의 지식과 통찰은 책을 읽는 또 다른 흥미 요소다. 삶으로서의 과학기술에 대해 질문을 가진 독자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남궁석 (Secret Lab of Mad Scientist 운영, 『과학자가 되는 방법』 저자) 
: 현재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은 대중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소모되고 있나? 언론에 등장하는 과학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도구로써 우리에게 풍요로운 미래를 안겨줄 ‘흑마술’과 별반 다르지 않게 인식되고 있다. 또 다른 면은 교양과학의 이름으로서, 주로 수십 년에서 수백 년 전 과학 발견에 관여된 위인들의 일화와 업적이 현대사회의 필수교양처럼 소모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현실의 과학기술 연구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진행되는지, 주요 ‘물주’인 정부는 과학기술 연구에 어떻게 투자하는지, 그리고 이렇게 생산되는 과학기술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같은 사안은 현대사회의 시민들에게 지극히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전달되고 있지 않다. 한국사회의 과학에 대한 인식이 그 정도에 머물러 있는 안타까운 상황에서 그동안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이라는 팟캐스트를 운영하면서 과학기술정책 관련자뿐만 아니라 많은 현장 과학자들의 목소리를 전달해온 듀오 <과정남>의 책은 시민들의 인식에 시원한 일격을 날려줄 쾌작이다. 흑마술도, 케케묵은 박제도 아닌 살아 있는 오늘날의 과학기술과 이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고 싶은가? 지금 당장 이 책을 펼쳐라!

 

 

*자세한 도서 정보: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70460182


*과정남 팟빵 주소: www.podbbang.com/ch/7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