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

  • 강동훈.png
    강동훈 Ph.D. Student
    • 폐기물 관리 행동
    • 재활용
    • 인구
    • 인류세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7)
    • 카이스트 기계공학 학사 (2018)
    • 카이스트 기술경영학 학사 (2018)

    강동훈 학생은 카이스트에서 기계공학과 기술경영을 전공했습니다. 학부 과정 동안, "Green in KAIST (카이스트 녹색캠퍼스 조성위원회)"와 "EWB KAIST (국경없는 공학자회)" 등 여러 학내 및 봉사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했습니다. 또한 청송 풍력발전에 관한 언론 기고 경험과 쓰레기 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코호트별 요인을 연구한 경험이 있습니다. 현재는 인류세, 인구 변화, 전자 쓰레기 등으로 연구 관심사를 넓히고 있습니다.

  • 강미량.png
    강미량 Ph.D. Student
    • 장애 과학기술학
    • 인간-로봇 관계
    • 사용자 혁신
    • 크립 테크노사이언스
    • 과학기술계 여성
    • 세월호 참사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0)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 학사 (2018)
    Publication

    강미량 (2022), 「작은 것들을 위한 공방: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오픈플랫폼」, 『과학잡지 에피』, 20호.

    강미량, 신희선, 전치형 (2021), 「자율보행체(自律步行體): 인간과 로봇이 함께 생성하고 분배하는 자율성에 대하여」, 『과학기술학연구』, 21(3), 98-138.

    김성은, 강미량, 성두현, 이슬기, 김소영 (2021). 『대통령을 위한 열 가지 과학 질문』. 한국과학기술원.

    전치형, 김성은, 김희원, 강미량 (2021).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 창비.

    장애를 차별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기술을 개발하고 배포할 것인가? 장애인을 치료하고 교정하려 했던 억압의 역사를 외면하지 않으면서 기술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가? STP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강미량 학생은 장애, 의료, 기술을 연구함으로써 과학기술학과 장애학을 잇고자 합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공학자, 의료진이 협업하여 걸음을 생성하는 과정을 탐구한 민족지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재활병원, 요양원, 복지관, 장애권리운동 현장 등으로 연구 범위를 넓히면서 장애인을 접근가능한 세계의 전문가, 디자이너, 사용자로 개념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외 한국 여성과학기술인이 겪는 구조적 차별, 에어컨 실외기의 역사, 세월호 참사에 대한 과학 논쟁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 구혜정(박사과정).png
    구혜정 Ph.D. Student
    • 군사혁신정책
    • 중진국 전략
    • 우주전략
    • 군사기술
    •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석사 (2016)
    • 육군사관학교 기계공학 학사 (2006)
    Publication

    구혜정 (2020). 4차 산업혁명시대 군사혁신 정책이 놓치고 있는 것들.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8.

    구혜정 학생은 대한민국 육군에서 근무하면서 육군본부의 군사혁신 정책 디자인에 기여했으며, 합동군사대학교에서 지상작전과 군사혁신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한 바 있습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중진국의 기술 혁신 메커니즘과 전략 선택이며, 현재는 한미 연합과 북한 위협에 주안점을 두어 군사혁신 정책과 우주 경쟁을 살피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부로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한국 석좌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Junho_Kwon.jpg
    권준호 Ph.D. Student
    • 과학기술외교
    • 기정학
    • 국가 전략
    • 거버넌스
    • 원자력
    •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석사 (2023)
    •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학사, 과학기술정책학 부전공 (2021)
    Publication

    Kwon, J., Yim, M.S. (2021) A Roadmap for DPRK’s Denuclearization Under the Consideration of Nuclear Latency,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Virtual Spring Meeting, Kowon, J., Yim, M.S. (2022) Simulating the Evolution of North Korea’s First Nuclear Test,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Spring Meeting, Jeju, Korea.

    Kwon, J., Yim, M.S. (2021) A Roadmap for DPRK’s Denuclearization Under the Consideration of Nuclear Latency,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Virtual Spring Meeting, Korea

    세계로 뻗어가는 대한민국, K-과학 열풍도 만들 수 있을까요? 국가 간 과학기술 협력과 경쟁이 공존하는 기정학(技政學)의 시대, 과학기술외교 국가 전략과 거버넌스를 고민합니다. 현재 우리 대학원 학생 대표로 봉직하고 있으며,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원자력 환경 및 핵안보 연구실 학생대표(2022), 학생회장(2020)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아랍에미리트 칼리파대학교 차세대 에너지 리더, 한국공학한림원 차세대 공학 리더 회원이며, 한국원자력학회 두산중공업 장학생, KAIST 핵비확산교육연구센터(NEREC) 하계프로그램 장학생으로 선발되었습니다.

  • 금현아.png
    금현아 Ph.D. Student
    • 쓰레기
    • 기반시설
    • 느린 재난
    • 환경 정의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2)
    • 카이스트 화학 학사, 과학기술정책학 부전공 (2019)
    Publication

    금현아, 섀로나 펄, 스콧 놀스, 트리디베시 데이 (2022). “3장 마스크의 시간: 마스크를 통해 다시 본 코로나 경험.” 『마스크 파노라마: 흑사병에서 코로나19까지, 마스크의 과학과 정치』. 문학과 지성사.

    금현아 (2022). 말하고 듣고 감응하며 연구하기: 석사논문 연구 수행과정을 돌아보며 (Talking, Listening, Feeling, and Responding: looking back on the process of conducting research for master's thesis).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2

    금현아 (2020). 가벼운 플라스틱의 무거움.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8.

    금현아 학생은 STP 박사 과정으로, STS와 환경사 분야가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쓰레기, 기반시설, 노동에 관심이 있으며, 특히 물질적, 공간적, 시간적 측면에서 폐기물 관리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석사 학위 논문으로 한국의 COVID-19 판데믹 시기 플라스틱의 사용 억제 및 촉진을 위해 나타난 서로 다른 쓰레기 처리 행위를 "느린 재난(slow disaster)"의 관점에서 다뤘으며, 쓰레기를 추출, 생산, 소비, 폐기 행위로부터 더 큰 시스템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창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계와 대중의 경계를 가로지를 수 있는 다양한 기술(영화, 팟캐스트 등)을 배우는 것에도 열정을 쏟고 있습니다.

  • 김선웅.png
    김선웅 Ph.D. Student
    • 생의약품산업
    • 글로벌 가치사슬
    • 기술혁신과 기업가정신
    • 멜버른대학교 보건경제학 석사 (2013)
    • 오클랜드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 학사 (2007)

    김선웅 학생의 연구는 생의약품 산업과 글로벌 가치 사슬에 제도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사회경제적으로 분석하고 관련된 정책 현안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활동과 기술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의사결정과정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기업가 정신, 혁신 시스템, 금융 시장을 다루는 문헌을 주의 깊게 살피고 있습니다. 카이스트 입학 전에는 Gradaute Consulting Group (멜버른)과 Middlemore Hospital (오클랜드), 그리고 대학 연구 센터 등지에서 공공 및 민간 부문이 마주하는 쟁점을 다뤄온 바 있습니다.

  • 김성광(박사,_신규)_Profile_Picture.jpg
    김성광 Ph.D. Student
    • 과학기술 시민수용성
    • 에너지 전환
    • 인류세
    • 디지털 미디어 공론장
    • 카이스트 과학저널리즘 석사 (2021)
    •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 학사 (2013)
    • 경희대학교 언론학 학사 (2013)

    김성광은 사회 행위자와 이들의 네트워크 위로 형성되는 혼합물에 관심이 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학’ 분야 현장연구에서 나오는 깊이 있는 이야기가 과학기술정책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 합류하기에 앞서 10년가량을 한겨레신문사와 CBS라디오방송국에서 각각 기자와 프로듀서로 일하며 네러티브-탐사보도에 집중했습니다. 이에 대한 성과로 한국기자협회가 수여하는 제49회 한국기자상을 포함해 10개 이상의 언론상을 받았습니다. 학부 과정에서는 민족지영화와 언론학을 공부했는데, 그 당시 현장 취재・조사를 바탕으로 그 이야기 구조를 완성한 경험이 언론인에 이어서 박사 과정 학생으로의 궤적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1._김승현.png
    김승현 Ph.D. Student
    • Technology_Policy
    • Digital_Transformation
    • Political_incentives
    • Cloud
    • M.A. Public Policy, KDI School of Public Policy, 2019
    • B.A. Polit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2011
    Publication

    Innovation for Development: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KDI International Development Report Series, 2020.12

    Cooperation Mechanisms with MDBs for New Northern and Southern Policies of Korea, KDI Policy Report for MOEF, 2018.10

    Seung Hyun has accumulated experiences in managing policy consultation programs at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He studied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during his undergraduate program at Yonsei University and obtained his master's degree in Public Policy at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 김주은_사진.jpg
    김주은 Ph.D. Student
    • 혁신클러스터
    • 지역혁신체제
    • 옥스포드대학교 정치학 석사 (2015)
    • 서울대학교 국제학 석사 (2013)
    •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 심리학 학사 (2011)

    김주은 학생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과학기술 기관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는 한국, 대만, 싱가포르와 같은 동아시아 지역의 신생 산업화 국가에서 혁신 클러스터 정책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 하는 것입니다. 직장에서 다양한 나라의 혁신 클러스터 지원기관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국가간 다양하게 나타나는 혁신 클러스터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 김준수(박사과정)_수정.png
    김준수 Ph.D. Student
    • 비인간 연구
    • 인간 너머의 접근법
    • 동아시아 도시화
    • 정치생태학
    • 과학기술학
    • 인류세
    • 연세대학교 사회학 석사 (2019)
    • 연세대학교 사회학 학사 (2015)
    Publication

    Kim Jun Soo, 2021. “Biopolitics of Invasive Species and More-than-human Biosecurity in South Korea: A case study of Procambarus clarkii and Onto-politics of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Economy and Society 132(1): 208-249.

    Kim Jun Soo et al., 2021. “Changing Geographical Imaginations of the Polar Regions: From Terra Incognita to the Frontiers of the Anthropocene”. Journal of the Korean Greographical Society. 56(6): 585-605.

    Kim Jun Soo. 2019. “Pig War: Toward the More-Than-Human Territoriality through African Swine Fever”. Journal of Culture and Historical Geography. 31(3): 41-60.

    Kim Jun Soo. 2019. “The Production of Han-river: Developmental Urbanization and More-than-Human Waterscape”. Space and Environment. 29(67): 94-158.

    Kim Jun Soo. 2018. “S. Korea’s Developmental Urbanization and Reshaping of ‘State-Nature’ Relations: Affective Governance of Urban Pigeons”. Space and Environment. 28(63): 55-100.

    김준수 학생은 정치생태학과 도시화 이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사회학 석사과정을 마친 후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에서 연구자로 재직했으며, 주로 비인간 연구, 인간 너머의 (more-than-human) 접근법, 그리고 동아시아 도시화 과정을 지리학과 사회학의 관점에서 다룬 논문을 다수 발표했습니다. 최근에는 동아시아에서의 인류세를 도시 정치생태학과 STS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례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김준용(박사,_신규)_Profile_Picture.jpg
    김준용 Ph.D. Student
    • 과학지식사회학
    • 과학철학
    • 과학사
    • 서강대학교 사회학 석사 (2023)
    • 서강대학교 사회학 / 철학 학사 (2021)

    김준용 학생은 과학지식사회학, 과학철학, 과학사에 관심이 있으며 그에 따라 사회학/철학 학사, 사회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석사과정에서는 특히 지식사회학을 공부하며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의 인식론적/방법론적 주장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이론적 작업을 하였습니다. 현재는 그러한 이론적 논의들을 바탕으로 정신질환과 같은 지식이 구성됨에 있어서의 제도와 일상적 실천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 Agnes_Jihae_Kim.jpg
    김지해 Ph.D. Student
    • 인간-기술 상호작용
    • 보조기기
    • 제론테크놀로지
    • 디지털 취약계층
    • 국립재활원 연구원, 2020–2023
    • 연세대학교 디자인예술학부 강사, 2019–2023
    • 연세대학교 산업디자인학 박사, 2019
    • 연세대학교 산업디자인학 석사, 2016
    • 연세대학교 산업디자인학/인지과학 학사, 2014
    Publication

    Kim, A. J., Choi, M. J., Lee. S. Y. & Eun, S. D. (2022). Development of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through Co-desig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1(4), 27–40.,

    Kim, A. J., Yang, J., Jang, Y., & Baek, J. S. (2021). Acceptance of an informational antituberculosis chatbot among Korean adults: mixed methods research. JMIR mHealth and uHealth, 9(11), e26424.

    Won, J., Park, J., Woo, E., & Kim, A. J. (2021). Universal Design Strategy for Products in Residential Spac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4(4), 87–101.,

    Kim, A. J., Kim, J. B., & Kweon, O. S. (2020). Usability of Assistive Technology: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for Powered Wheelchair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3(2), 73–87.

    Kim, A. J., An, K. O., Yang, J., Rho, E. R., Shim, J., & Eun, S. D. (2024). Predicting adoption of the assistive technology open platform: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1-13.

    Ro, E. R., An, K. O., Kim, A. J., Jang, S. U., Kim, E. J., & Eun, S. D. (2024). Usability Study to Promote Co-crea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ers, and Makers with a Focus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pen Platform in Korea. IEEE Access.

    김지해 학생은 산업디자인학 박사로 사람과 인공물(제품, 서비스, 공간 등)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디자인 가이드를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국립재활원에서 노인,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연구를 기획, 수행하며 공공 정책의 중요성을 느끼고 STP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노인, 장애인,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과학기술지원이 그들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김태경.png
    김태경 Ph.D. Student
    • 정보공유
    • 개인정보
    • 정보관리 및 규제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8)
    •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2015)
    Publication

    Tae Kyung Kim and Moon Choi. "Older adults’ willingness to share their personal and health information when adopting healthcare technology and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126 (2019): 86-94.

    김태경 학생은 학부에서 정치외교학을 공부했으며, 국가적 수준에서 과학기술이 수행하는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STP에 진학하였습니다. 석사학위논문에서는 노인 인구가 정보 공유에 대해 취하는 태도와 거기에 영향을 주는 사회경제적 요소를 다루었습니다. 석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STEPI(한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재직하며 공공 정책 부문의 업무환경을 경험했습니다. 현재는 새로운 기술에 적용되는 개인정보 규제와 관리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떻게 실무 경험에서 얻은 것을 더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 김희원.png
    김희원 Ph.D. Student
    • 몸 정치
    • 얼굴 표정·감정·그리고 인간 본성에 관한 과학
    • 인간-테크놀로지 관계
    • 과학사
    • 과학기술학
    • 서울대학교 과학사및과학철학 석사 (2016)
    • 카이스트 생명과학 석사, 과학기술정책학 부전공 (2014)
    Publication

    Heewon Kim, Hyungsub Choi (2022). “From Hwangsa to COVID-19: The Rise of Mass Masking in South Korea,”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 International Journal, 16(1), 97-107.

    전치형, 김성은, 김희원, 강미량 (2021). 『호흡공동체: 미세먼지, 코로나19, 폭염에 응답하는 과학과 정치』. 창비.

    Heewon Kim, Hyungsub Choi (2021). “COVID-19 and the reenactment of mass masking in South Korea,”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Life Sciences, 43(2),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40656-021-00400-y

    김희원, 김성은 (2020), “인류세 시대의 컴퓨팅: 인간과 지구를 매개하는 컴퓨팅 기술”. 『과학기술학연구』, 20(1), 113-155.

    김희원 학생은 박사논문으로 얼굴 표정 연구와 얼굴 표정 인식 기술의 냉전적 기원에 대한 연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행동과학 연구자들이 인간 본연의 얼굴 표정과 범문화적인 감정을 연구했던 사회문화적 동인이 무엇인지 살피고, 관련 지식 생산과 기술 개발 활동으로 만들어진 인간 본성과 얼굴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컴퓨터 과학자 등 다른 분야의 연구자 및 대중에 의해 적극 수용될 수 있었던 배경을 밝히고자 합니다. 그 외 관심사로는 황사, 미세먼지, 코로나 등 여러 공기 재난 속에서 마스크가 대중화 될 수 있었던 사회, 문화, 기술적 조건들, 그리고 20세기 이후 재난에 대한 기억과 추모와 기억 등이 있습니다.

  • 문철훈_사진.jpg
    문철훈 Ph.D. Student
    • 디지털 유산
    • 과학기술정책
    • 재난분석
    • 사회문제
    • 기록화
    • 문화재청 학예연구사 (2015~)
    • 영국 요크대학교 디지털유산학 석사 (2015)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 학사 (2013)

    문철훈 학생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심이 있습니다. 석사 논문에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기록과 목록화를 다루었던 문철훈 학생은 특히 역사학∙유산학 관점에서 재난과 사건을 조명하고 관련 기록의 체계적 보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급진적 발전에 따라 문화유산 분야에 야기되는 여러 사회 문제를 분석하여, 이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정책도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 박준혁.png
    박준혁 Ph.D. Student
    • 정보기술과 금융
    • 블록체인
    • 탈중앙화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7)
    • 카이스트 전산학 학사 (2015)
    • 카이스트 화학 학사 (2015)
    Publication

    박준혁 (2018). 등굣길 166.5km, 여행길 삼 년.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5.

    박준혁 (2016). 누군가가 시력을 잃었다.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

    박준혁 학생의 주된 연구 분야는 금융 분야에서 정보기술의 쓰임과 그 사회적 영향력입니다. 더 자세히는 블록체인 기술과 사회 자원 및 권력의 탈중앙화를 살피고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블록체인이 정말로 경제와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에서 탈중앙화된 사회를 만드는지에 대해 답하려고 합니다. 또한 어떻게 사회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을 기대와 규제를 통해 영향 주는지 밝히고자 합니다. 따라서 경제인류학 및 사회학의 관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며, 모델기반 시뮬레이션, 담론 분석, 참여관찰과 같은 실증적이고 수치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 박현빈(박사과정).png
    박현빈 Ph.D. Student
    • 재난
    • 기후변화
    • 숲 및 산불 관리
    • 다종적 관계
    • 인류세
    • 카이스트 물리학과 석사 (2021)
    • 카이스트 물리학과 학사 (2018)
    Publication

    박현빈 (2020). 마법 도시의 경계에 선 프리먼 다이슨의 당부 (서평: 프리먼 다이슨, 김희봉 역, 2009, 『프리먼 다이슨, 20세기를 말하다』).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9.

    Myung-Ae Choi, Hyeonbin Park, Joelle Champalet, Hanah Sung. (2023). Nonhuman Neighbours in the City: Human-egret Conflic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26(1), 17-36. ( 최명애, 박현빈, Joelle Champalet, 성한아. (2023). 도시의 비인간 이웃: 대전시 주민-백로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6(1), 17-36.)

    박현빈 학생은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중입니다. 그의 연구 분야는 과학기술학(STS), 환경사와 재난학을 포함합니다. 현재 그의 연구는 한국의 산불 관리 체계 내에서 숲, 산불, 야생동물을 둘러싼 환경 지식과 실천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숲과 산불 관리에 대한 지식 정치의 관점, 그리고 인간과 비인간 종의 관계를 중심으로 숲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인류세에서 인간과 비인간 생명체가 함께 번영하는 미래를 상상하는 연구를 하고자 합니다.

  • 조앨.png
    Joëlle Champalet Ph.D. Student
    • 스마트시티
    • 회복탄력성
    • 인간 너머의 연구
    • 일상 행위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1)
    • 그르노블알프스대학교 지역혁신학 석사 (2019)
    • 파리제12대학 지리및공간설계학 학사 (2017)
    Publication

    Champalet, J. (2020). Studying and Living in Korea: the experience of French master student in STP.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9.

    두 곳의 프랑스 대학에서 지리학 학사와 도시 설계 석사 학위를 받은 조엘 학생은 이 과정에서 디지털 커뮤니티와 영토 사이의 상호작용을 살핌으로써 기술과 인간 관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기술과 영토의 관계성을 더 탐구하기 위해 STP에 진학했고, 스마트 시티에서 어떻게 일상 행위가 변화하는가에 대해 석사학위논문을 작성했습니다. 현재는 한국과 프랑스의 도시들을 대상으로 도시와 회복탄력성, 그리고 도시와 재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성두현.png
    성두현 Ph.D. Student
    • 과학철학
    • 과학과 가치
    • 생의약품
    • 의약품 규제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8)
    • 카이스트 물리학 학사 (2016)
    Publication

    Sung, D. & Holman, B. (2023). Against Evidential Pluralism in Pharmaceutical Regulation. Philosophy of Science Vol. 90(5).

    성두현 (2022).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사유하는 항공우주의학 규제의 미래. BioINpro 105호.

    김성은, 강미량, 성두현, 이슬기, 김소영 (2021). 『대통령을 위한 열 가지 과학 질문』. 한국과학기술원.

    Sung, R. D. & Agarwal, S. (2021). On the Lanscape of Youth Participation in Science Policy.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1.

    성두현 (2020). 과학적 모형의 가치와 과학의 가치중립성에 대하여.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9.

    성두현 (2017). 격리된 상상력: SCP 재단과 대중의 상상력에 대하여.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3.

    성두현 학생은 과학철학과 사회인식론을 연구하는 학생으로서 과학과 법률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쟁점에 관심이 있습니다. 성두현 학생의 학위 연구는 생의약품 연구를 위한 동물 실험과 독성학적 위험 평가의 경우에 대안을 승인하는 데 있어 인식론과 가치의 역할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의약품에서의 이익갈등, 증거 기반 약학에서의 방법론적 논쟁, 그리고 의약품 규제에 관한 다양한 제도에 관한 논란을 함께 살피고 있습니다. 실증 기반 과학철학이라는 방법론적 방침에 따라, 개념 분석, 논증 분석, 결정 이론, 근거 이론, 역사기록학 등의 방법론을 택합니다.

  • 신희선(박사과정).png
    신희선 Ph.D. Student
    • 로봇
    • 시뮬레이션
    • 인간-로봇 관계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6)
    • 카이스트 건설및환경공학 학사, 과학기술정책학 부전공 (2014)
    Publication

    강미량, 신희선, 전치형 (2021), 「자율보행체(自律步行體): 인간과 로봇이 함께 생성하고 분배하는 자율성에 대하여」, 『과학기술학연구』 제21권 3호, pp. 98-138.

    Chihyung Jeon, Heesun Shin, Sungeun Kim, and Hanbyul Jeong. “Talking Over the Robot: A Field Study of Strained Collaboration in a Dementia-Prevention Robot Class.” Interaction Studies 21, no. 1 (2020): 85-110.

    김성은, 신희선, 전치형 (2018), 「평창올림픽과 움직임의 위기: 로봇, 5G 네트워크, 가상현실 기술은 인간 움직임의 가치를 위협하는가」, 『움직임의 철학』 제26권 4호, pp. 67-85.

    신희선, 전치형 (2018), 「노인과 로봇은 어떻게 만나는가: 상호작용의 조건과 매개자의 역할」, 『과학기술학연구』 제18권 2호, pp. 135-179.

    신희선 학생은 카이스트 건설및환경공학과를 졸업한 후 STP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로봇공학의 문화와 정치, 그리고 로봇 제작 과정에서 인간과 로봇이 맺어가는 관계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현재 세 가지 종류의 로봇(재난대응로봇, 물류로봇, 돌봄로봇)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 사회를 모사하고 미래 사회를 모의하는 사회기술적 시뮬레이션이 어떻게 로봇의 설계, 개발, 활용되는 방식을 구성해 나가는지 살피는 박사학위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 안오성(박사과정).jpg
    안오성 Ph.D. Student
    • 항공우주정책
    • 거대과학정책
    • 국가과학기술전략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전략부장 (2019~2021)
    •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 석사 (1994)
    •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 학사 (1992)
    Publication

    안오성 (2021). 경제사회적 맥락에서, UAM 사업화 경쟁 현황과 전략적 대안 (Strategic Review on UAM Commercialization Competition with Socio-economic Perspective).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19(2), pp. 9-27.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안오성 (2017). 왜 메타과학기술정책인가: 해외동향·연구자 민원처리·화려한 담론을 넘어서기 위한 과제는?.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2.

    안오성 (2016). Long Policy Review: 전환기(transition) 논의.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

    안오성 학생은 Smart UAV Program (KARI, 2002-2012), T-50 Program (KAI, 1997-2002), 상업항공기 프로그램 (삼성항공산업, 1994-1997) 등의 항공우주 프로젝트에서 20여 년 간 시스템 통합 공학자로 근무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은 항공우주, 기술혁신, 빅 사이언스 분야에서의 정책과 국가정보전략으로 방향을 돌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전략본부장 (2019-2021), SENARI의 정출연정책연구소장 (2019),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자문위원으로 (2017) 재직했습니다. 최근에는 "경제사회적 맥락에서, UAM 사업화 경쟁 현황과 전략적 대안 (2021, KARI)"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현재는 대규모 R&D 프로그램의 공공 전략에 가해지는 왜곡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양승훈.png
    양승훈 Ph.D. Student
    • 과학기술정책
    • 산업사회학
    • 중공업
    • 현)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연세대학교 문화학 (문화인류학전공) 석사 (2012)
    •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2005)
    Publication

    양승훈 (2019).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파주: 오월의봄.

    양승훈 (2017). 『사라진 영국의 산업도시』. 퍼블리.

    양승훈 학생은 정치학과 인류학을 전공하였으며, 이후 대우조선해양 홍보팀 및 전략혁신부서에서 5년간 일했습니다. 혁신, 정책, 그리고 산업사회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기술자들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시각에서 혁신 정책을 바라보려 합니다. 또한 산업 구조조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사회적, 정치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고자 합니다. 2019년에는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를 집필하여 "제60회 한국출판문화상 교양부문"을 수상했습니다.

  • 우지수.png
    우지수 Ph.D. Student
    • 여성과학기술인정책
    • 혁신정책
    • 성평등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1)
    • 이화여자대학교 철학 학사 (2018)
    •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 학사 (2018)
    Publication

    우지수 (2019). 과학기술 인력 정책의 뒤켠: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7.

    우지수 학생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물리와 철학을 전공했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두 분야를 공부하고 여러 활동에 참여하면서 정책이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카이스트의 환경은 기술이 현실에 구현되는 방식에 대해서도 흥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현재는 이공계 여성 인력과 혁신정책이라는 두 가지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이다온(박사과정).png
    이다은 Ph.D. Student
    • 글로벌과학기술정책
    • 정책결정과정
    • 과학기술거버넌스
    • 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산업혁신연구본부 연구원 (2015~)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5)
    • 텍사스주립대학교 (Dallas) 전기공학 학사 (2012)
    Publication

    이다은 (2017). 창업 열풍을 통해 바라본 KAIST의 미래.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2.

    STP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재직 중인 이다은 학생은 기술경쟁과 과학외교와 관련된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STEPI에서의 실무경험은 글로벌 정책 결정 과정의 역학관계와 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를 이해하는 데 있어 시야를 넓혀주었습니다. 현재도 실무 경험과 학술연구를 연결짓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 DongjoonLee.jpg
    이동준 Ph.D. Student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STI4SDGs)
    • 국가혁신시스템
    • 클러스터 혁신
    • 중소기업정책
    • 원자력정책
    • 일본 국립정책연구대학원대학 공공정책학 석사 (2016)
    •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학부 정치외교학 학사 (2013)

    이동준 학생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효율적이고 포괄적인 과학기술정책을 디자인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주된 연구 분야는 국가 혁신 시스템, 바텀 업(bottom-up) 혁신 시스템, 클러스터 혁신과 중소기업 정책입니다. 카이스트에 진학하기 전 원자력발전 분야에서도 근무한 경험이 있어 원자력정책에도 많은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 이슬기-박사과정.png
    이슬기 Ph.D. Student
    • 합성살충제
    • 과학사
    • 인류세
    • 토지이용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1)
    • 경북대학교 생명과학 학사 (2018)
    • 경북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학사 (2018)
    Publication

    이슬기 (2021). 농약을 중심으로 본 녹색혁명: 1970년대 증산과 공해에 가려진 농약 중독. 한국과학사학회지 제43권.

    김성은, 강미량, 성두현, 이슬기, 김소영 (2021). 『대통령을 위한 열 가지 과학 질문』. 한국과학기술원.

    이슬기 학생은 경북대학교에서 생명공학, 언론,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습니다. 서로 다른 두 전공을 공부하면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사회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품게 되었습니다. STP에 진학한 후, 1990년대 한국을 배경으로 독성 물질이 지니는 위협과 그 쓰임을 연구해왔습니다. 합성 살충제를 중요한 대상으로 하여 정부 정책, 살충제, 노동자, 환경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또한 인류세와 인류세 안에서의 토지 이용도 함께 연구합니다.

  • 이슬기.png
    이슬기 Ph.D. Student
    • 재난학
    • 페미니스트
    • 과학기술학
    • 현장연구
    • 추모
    • 정의(正義)
    • 세월호 참사
    • 지역적 맥락
    • 느린 재난
    • 기후변화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3)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 학사 (2020)
    Publication

    이슬기 (2022). 서평: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의 겸손한 목격에서 배우기 (Book Review: Learning from Humbly Witnessing Crazy, Odd, Arrogant, and Smart Women).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2.

    STP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슬기 학생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와 유가족의 실천을 중심으로 재난 조사와 추모의 영역에 걸쳐 관여하는 과학을 연구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느린 재난이 진행되는 삶에서 과학 기술의 역할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으로 관심을 넓히고 있습니다. 그 외 탄소 회계(carbon accounting), 여성과 재난의 관계 등에 관심이 있습니다.

  • 이준호(박사과정).png
    이준호 Ph.D. Student
    • R&D 효과성
    • 영향평가
    • 과학기술과 국제개발
    • 빅데이터
    • KDI국제정책대학원 개발정책학 (공공재정전공) 석사 (2017)
    •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 학사 (2014)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 학사 (2014)

    이준호 학생은 KDI, 미주 기구, SK네트워크를 비롯한 다양한 실무 경험이 있으며 현재는 STP 박사과정에 재학 중입니다. 온두라스와 파라과이의 경험발전공유사업을 비롯한 정부개발원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과학기술정책에 자연스레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재직하면서 기업 성장을 위한 R&D 평가, 창조적 조직의 특성, 포용적 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했습니다. 현재는 R&D 효과성, 국제 개발, 빅데이터 등의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Yena_Chae_small.png
    채예나 Ph.D. Student
    • 에너지안보
    • 저탄소에너지경제
    • 수소경제
    • ICT 에너지관리
    • 재생에너지정책
    • KDI국제정책대학원 행정학 (글로벌거버넌스 및 정치경제 전공) 석사, 차석졸업
    • 오타고대학교 경제학 학사

    채예나 학생은 UN 공인 에너지 국제기구 World Energy Council에서 Future Energy Leaders 한국 대표를 역임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발전 및 국내 수소경제 구축에 관심이 많으며, 녹색미래를 위한 에너지 정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수소차량 인증 기준 관련 연구 및 녹색 전환을 가능케하는 수소 ‘Hydrogen an Enabler of the Grand Transition’ 발행물 저자이며, G20 정책 제안 등 에너지 관련 활동을 펼쳐온 바 있습니다. 관심 연구 분야는 저탄소 에너지 경제, 에너지 안보와 셰일가스, 에너지효율성 관리- ICT의 역할,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재원 조달을 포함합니다.

  • 최철.png
    최철 Ph.D. Student
    • 지식재산
    • 혁신정책
    • 과학기술제도혁신
    •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런던대학교 국제금융법학 석사
    • 런던대학교 지적재산권법학 석사
    • 서울대학교 국제경영정책학 석사
    •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최철 학생은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경영학을 공부했습니다. 가치 사슬 개념에 기반을 둔 한국 기업의 국제화 과정을 다룬 연구는 영국에서 지식재산권 법률을 이어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영국에서 법학석사 과정을 마친 후 국제 로펌인 Allen & Overy에서 국제 금융 전문 변호사로 근무한 바 있습니다. 주된 관심 분야는 지식재산권과 금융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지식재산을 창출하는 혁신 생태계입니다. 과학기술의 정책적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지식재산권과 혁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STP에 진학했습니다. 그 외에도 정책과 법률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과학기술 발전의 조직적 요소에 관심이 있습니다.

  • 한혜정.png
    한혜정 Ph.D. Student
    • 신약 개발
    • 추구의 맥락
    • 인공지능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19)
    •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 학사 (2017)
    Publication

    i. HyeJeong Han (2023). “Taking Model Pursuit Seriously”, European Journal for Philosophy of Science,13(2)

    ii. 한혜정 (2021). 파는 윤리: AI 윤리와 기업의 영향에 대하여.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1.

    과학자들은 인식론적으로 취약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릴 수 밖에 없으며, 과학기술정책은 과학의 내재적인 한계를 다뤄야 합니다. 한혜정 학생은 의약품 및 바이오헬스 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익 추구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합니다. 학부과정을 통해 화학 및 분자생명공학을 공부했고, 석사학위논문에서는 사법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머신러닝 기법 도입을 연구했습니다. 현재는 약물 디자인에 관여하는 과학적 행위와 약물 발견 및 개발에 있어 AI의 적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학사와 과학철학이 어떻게 실제 정책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합니다.

  • Ern_Chern_update.jpg
    Ern Chern Khor Ph.D. Student
    • 컴퓨터과학
    • 정보기술정책
    • 재해관리
    • 기술 스타트업 생태계
    • 온라인 플랫폼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2022)
    • 카이스트 전산학 학사 (2020)
    • 카이스트 기술경영학 학사 (2020)
    Publication

    Khor, E. C. (2021). Good People, Good Books, and Zoom. 과학뒤켠 (Behind Sciences) Vol.10.

    허은진 학생은 학부과정에서 전산학과 경영학을 공부했으며, 두 분야에 대한 지식을 함께 활용하여 재해관리, 기술 스타트업 생태계, 온라인 플랫폼 등의 분야에서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이스트 대표단으로서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기술발전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함양하는 프로젝트에 참가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오늘날 정보기술이 사회, 경제, 환경적 측면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허은진 학생은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기술 발전 유인을 위해 정책학의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대학원 과정을 통해 신흥 기술에 관한 사회적 이슈 및 정책 입안에 대해 더욱 심도 있게 공부하고자 합니다.